공개 영상에서 풀리지 않은 질문이 있나요?
📌 존쌤의 언어습득법 Q&A 영상 시리즈를 만나보세요!
존쌤의 언어습득법 Q&A 영상 시리즈란 구독자분들이 가장 많이 해주신 질문을 바탕으로 답변을 드리는 채널 멤버 전용 영상 시리즈입니다.
💰 채널 멤버십 가입비: ₩1,990/월
☕ 이렇게 아메리카노 한 잔보다도 더 적은 부담으로 이런 내용을 얻을 수 있다니, 꽤 괜찮지 않나요?
📄 아래에는 Q&A 영상에서 다룬 모든 질문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해 두었으니, 이 페이지를 저장해 두세요! 그래야 나중에 "존쌤이 그것에 대해 뭐라고 했더라?" 싶을 때, 아래 타임스탬프만 클릭하면 바로 해당 답변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현재까지 Q&A 영상은 총 10개가 공개되었으며, Q&A #11 (“시험과 면접을 언어습득과 동시에 병행해도 괜찮을까? 반드시 시험이나 면접을 위해 단어를 외우거나 번역해야 한다면, 어떻게 하면 좋을까?) 를 제작 중입니다.
채널 멤버십 가입비 및 혜택
☕ 가입비: ₩1,990 / 월
✅ 채널 멤버 전용 Q&A 영상
✅ 채널 멤버 전용 보너스 영상
Q&A 영상 질문 가이드
👇

Q&A #10 - 읽기를 시작하는 법?
0:00 언제 자막을 켜도 될까?
0:30 자막 시청?
1:20 읽을 수 있다는 착각?
2:03 독서 메커니즘의 원리?
7:21 독서를 잘한다는 기준?
7:45 독서는 생각의 도구다?
8:59 읽기는 습득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이 아니다?
9:45 자막 시청은 독서의 한 종류일 뿐?
12:32 자막 시청은 초보 독자들에게 속독과 같다?
13:11 생각할 틈이 있어야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?
16:05 독서를 시작하는 방법 Step 1
17:17 독서 수준 미달자라면?
18:38 독서를 시작하는 방법 Step 2
19:49 독서를 시작하는 방법 Step 3
21:15 알라딘 중고서점 핵꿀팁!!!
22:13 독서를 시작하는 방법 Step 4
23:02 독서를 시작하는 방법 Step 5

Q&A #9 - 노래 & 다양한 악센트들을 알아듣는 방법?
0:00 노래를 듣는 것이 언어 습득 과정에 도움이 될까?
2:10 가사를 알아들어야 언어 습득이 가능할까?
3:50 노래보다 더 좋은 복습 콘텐츠가 없을까?
6:43 초보 단계에서 노래를 고르고 듣는 방법?
8:35 노래/가사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?
10:53 중간 요약
11:46 영국식 영어 vs. 미국식 영어 - 동시에 둘 다 습득해도 될까?
13:53 사투리 또는 다른 악센트를 어떻게 다룰까?
18:53 시대물 말투 또는 애니메이션 말투가 오히려 피해를 주지 않을까?

Q&A 8 - 단어 검색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? (초보자, 중급자, 상급자 포함)
0:00 - Q&A에 질문을 남기는 법?
1:02 - 무자막 시청할 때 계속 들리는 단어가 있으면 검색해도 될까?
1:37 - 말의 중요성 판단력?
4:40 - 초보 외국어 학습자들이 공부할 필요가 없다?
6:04 - 초보자는 무자막 시청을 할 때 어떤 말을 검색하면 좋을까?
6:10 - 초보 외국어 학습자가 무자막 시청을 할 때 검색해도 되는 2가지의 말?
6:29 - 계속 듣지만 이해가 안 가는 말의 기준?
9:31 - 모르는 말을 다 검색할 수 있다면 투자하는 시간이 부족하다?
11:33 - 처음 듣지만 갑자기 많이 나오는 말의 기준?
12:49 - 검색해도 되는 말을 알아듣기 테스트 1
14:32 - 사용하는 콘텐츠에 나오는 말은 원어민들이 잘 안 쓰는 말이잖아?
16:15 - 내가 이해하는 것을 다 말할 수 있다는 오해?
17:09 - 원어민들은 단어를 줍는다?
20:32 - 외국어 학습자가 얼마나 자주 새로운 단어를 검색해야 할까?
20:41 - 한 장면, 한 마디 법칙?
22:12 - 한 페이지, 한 마디 법칙을 도입하는 법 - 중급자 & 고급자?
24:40 - 한 페이지, 한 마디 법칙을 도입하는 법 - 초보 독자?
25:59 - 한 장면, 한 마디 법칙을 도입하는 방법 – 초보자?
28:29 - 무자막 시청 PLUS+ + 영상에 투표해주세요
29:18 - 초보자 리뷰하기
29:55 - 중급자/ 고급자 요약하기

Q&A 7 - 시청듣기 vs. 무자막 시청 - 더 효과적인 학습법?
1:41 무자막 시청 vs. 시청듣기 - 더 효율적인 것?
2:24 무자막 시청은 시청듣기보다 초보 외국어 학습자에게 더 효율적인 학습법이다?
3:00 몰입 시간 vs. 몰입하지 않은 시간?
3:54 초보인 외국어 학습자가 몰입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학습법?
5:05 초보자들에게 듣기를 강조하는 이유?
6:38 회원 여러분께
6:56 세계 최고의 고기집?
8:59 나의 현재 일본어 실력? - 2023년 10월
11:36 나의 현재 언어 실력 또는 수준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?
11:53 나의 현재 언어 실력을 정하는 방법?
14:29 내가 일본어 배우는 과정? - 2022년 9월부터 - 2023년 10월까지
16:49 나와의 일본어 관계?
17:59 존쌤의 언어습득법에는 문턱이 없다
20:30 지금까지 제가 일본어를 배우면서 잘못한 것?
20:39 지금까지 제가 일본어를 배우면서 잘한 것?
20:50 4개월 쉬다가 다시 시작한 다음 신기한 것?
21:50 저보다 잘하는 학생?
22:03 나와의 일본어 관계가 좋은 이유?
23:15 무자막 시청 PLUS+를 하기 전 반드시 해야 할 것?
24:46 AT를 높이는 법
26:22 초보자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공부법?
27:09 무자막 시청 꿀팁 - 애니메이션과 실사판?
28:04 우리가 같이 배울 수 있는 방법?

Q&A 6 - 무자막 시청할 때는 어떤 콘텐츠를 사용하면 되나요?
1:42 배속으로 시청 또는 듣기를 해도 괜찮을까?
2:05 원어민 콘텐츠를 공부 자료로 만들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언어의 자연성이 떨어진다?
3:48 유아어?
4:33 (반복 vs. 다양함) 모든 사람들이 말하는 속도가 다르다는 점?
5:13 아동 콘텐츠를 시청하기?
6:05 배속 기능을 사용해서 빠르게 듣는 것이 어떨까?
7:01 무자막 시청을 하면 이해가 안 가서 재미가 없는데 어떡하지?
7:42 이해하지 못해서 재미가 없다는 것이 오해다?
7:57 예시 1: 배울 점 많은 사람을 좋아하는 경우?
9:02 예시 2: 상대방 외모를 좋아하는 경우?
9:50 무자막 시청은 새를 구경하는 것과 같다?
13:07 해결책 1: 펭귄 같은 콘텐츠를 찾기?
14:02 해결책 2: 무자막 시청을 음악을 듣듯이 하라?
15:20 해결책 3: 무자막 시청을 새로운 노래를 듣듯이 하라?
18:29 해결책 4: 무자막 시청을 껌 씹듯이 하라?
19:41 해결책 5: 내가 좋아하는 영상의 요소 리스트를 만들기?
21:38 우리가 무자막 시청을 같이 할 수 있는 법?

Q&A 5 - 이해하지 못해서 집중이 안 된다면?
0:00 더빙된 콘텐츠를 봐도 될까?
0:07 아기는 입모양을 관찰하는 특성이 있다
0:17 입모양 관찰이 새로운 언어를 가르쳐준다
0:36 4개월 된 모든 아기들에게 입모양 발음 구별 능력이 있지만 8개월 된 아기 단일언어자들에게는 없다 ?
2:04 이 특성의 두 번째 증거?
3:49 이 특성이 언제부터 시작하는 걸까?
4:22 외국어 학습자로서 이 특성을 더해 맥거크 효과 영상을 바탕으로 한 결론?
5:45 보면 안 되는 첫 번째 더빙된 콘텐츠?
7:37 보면 안 되는 두 번째 더빙된 콘텐츠?
9:18 회원분들에게 미리 알려드리는 것?
9:57 언제부터 자막을 켜고 시청하면 될까?
10:12 그럼, 그것을 잘한다는 기준이 뭘까?
10:21 외국어 학습자 2가지 밖에 없다
11:50 독서를 언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?
12:17 한글 자막 & 영어 자막 동시 켜는 게어떨까?
12:27 한글 자막 시청 후 무자막 시청을 하는 게 어떨까?
12:38 목표 언어로 된 자막 시청 후 무자막 시청을 하는 게 어떨까?
12:48 무자막 시청 후 자막 시청을 하는 게 어떨까?
12:56 무자막 시청 중 모르는 말이 있으면 자막 켰다가 끄는 게 어떨까?
13:09 이해하지 못해서 집중이 안 되면?
14:17 무자막 시청 전 줄거리를 어떻게 사용하면 될까?
14:56 콘텐츠를 고를 때 절대적인 법칙의 문제?
16:03 에피소드마다 줄거리를 보면 괜찮을까?
18:29 피카츄 vs. Pikachu를 생각해야 하는 이유?
20:40 AT를 높여야 하는 이유?
22:49 극단적으로 모국어 읽기 99%를 피하고 싶으면 방법이 따로 있을까?

Q&A 4 - 단어와 문법을 아예 모른 채 먼저 습득을 해도 되나?
0:58 단어를 몰라도 습득을 먼저 해도 되나?
1:08 언어 유추력?
2:35 문법을 모른 채 습득을 해도 되나?
2:46 문법이랑 단어의 차이?
3:37 명시적 지식 vs. 암묵적 지식?
5:03 영어 선생님이 왜 문법을 중요시하는 걸까?
6:52 문법은 습득하기가 쉽지만 공부하기가 어렵다?
8:50 문법을 모른 채 습득을 해도 되나?
11:11 무자막 시청 vs. 시청의 차이?
12:13 무자막 시청을 안 했던 콘텐츠를 듣는 게 어떨까
13:05 초보자들에게 시청듣기를 강조하는 이유 #1
15:24 초보자들에게 시청듣기를 강조하는 이유 #2
15:38 흥미 위주로 콘텐츠를 골라야 하는 이유

Q&A 3 - 반복 시청 vs. 다양한 시청?
0:00 영화 1편, 영어 책 한 권 (패턴 영어나 회화책) 암기하기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
4:50 존쌤의 anki와 옵시디언 공부법 영상을 언제 올리는 건가요?
7:38 반복 시청 vs. 다양한 시청 |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건가?
12:53 시청듣기는 어느 정도로 집중을 해야 효과가 좋을까요?
16:02 넷플 배경 재생을 켜놓는 방법이 무엇일까?
16:51 한국어 공부를 어떻게 하셨는지?
20:19 리딩도 인풋인데 리딩을 많이 하면 스피킹 실력이 느는 건 아닌건가요?
22:09 무자막 시청 대충 몇 시간이면 귀가 뚫릴까요
25:27 의사소통 되려면 어느 정도의 인풋을 해야 하나?